추세매매 3

거래량과 캔들로 보는 세력 매집 흔적 (1)

대부분의 기술적 지표는 현재의 가격을 설명해주는 동행성 지표이거나 가격이 움직인 후 그것을 설명하는 후행성 지표이지만, 거래량 지표는 미래의 주가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선행성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거래량과 캔들을 이용해 세력 매집 흔적을 찾아보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물론 가격 상승을 100% 예측할 수는 없지만, 매매를 함에 있어 근거가 될 수 있고, 조금이라도 매매에서 승리할 확률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매매를 함에 있어 진입 근거를 가지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진입 근거가 있어야 목표가, 손절가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진입 근거 없이 매매를 하는 것은 그냥 홀짝 도박에 불과합니다. 1. 세력 매집 흔적. (1) 거래량이 폭발하며 나오는 역망치형 장대 양..

엘리어트 파동 이론 (3-2) 조정 파동 - 삼각형, 혼합형

1. 삼각형(3-3-3-3-3) 삼각형 조정은 가격의 조정보다는 시간의 조정에 가깝습니다. 5개의 파동을 가지고 있으며 3-3-3-3-3의 형태로 이뤄져 있고, A-B-C-D-E로 표기합니다. 삼각형 조정은 지그재그형 조정처럼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수렴형과 확장형 2가지 형태가 있고, 확장형 보다는 수렴형이 좀 더 자주 등장합니다. 그리고 2파보다는 4파에 자주 등장하며, B파에도 종종 나옵니다. 그림과 같이 마지막 E파동은 힘이 약해서 A파동과 C파동을 잇는 경계선에 닿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림과 같이 B파동이 A파동의 시작점을 넘는 삼각형 조정도 자주 나타납니다. 그리고 종종 위 그림처럼 파동E가 연장되어 다시 하위 삼각 조정을 그리며, 9파 삼각형 조정이 되기도 합니다. 2. 삼각 수렴을 ..

엘리어트 파동 이론 (3-1) 조정 파동 - 지그재그형, 플랫형

시장은 한 단계 더 큰 파동을 만들어 내기 위해 추세를 거스르는 반대 파동으로 조정을 줍니다. 추세를 거스르고 추세와 힘겨루기를 하므로 가격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집니다. 조정 파동의 종결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조정 파동이 완성되고 나서야 특정 패턴으로 판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정 파동은 충격 파동과 다르게 5파로 구성되지 않고 3파로 구성되는데, 추세에 맞서 급격하게 가격 조정을 이루는 급각 조정과 급각 조정보다는 좀 더 완만하며 시간적으로 조정을 가지는 횡보 조정, 2가지가 있습니다. 조정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지그재그형(Zig-Zags), 플랫형(Flats), 삼각형(Triangles), 혼합형 형태가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지그재그형 조정과 플랫형 조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