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 6

엘리어트 파동 이론 (4) 추세선, 채널

1. 추세선 추세선이란 기초적인 차트 분석 방법으로 추세의 움직임을 가상으로 이은 선입니다. 상승 추세에서는 저점을 2개 이상 연결한 상승 추세선을 그릴 수 있고, 하락 추세에서는 고점을 2개 이상 연결한 하락 추세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추세가 꺾이지 않는다면 추세선에서 지지 또는 저항을 받게 되는데, 지지 또는 저항을 받지 못하고 추세선을 뚫고 나갈 경우엔 추세가 전환되었음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추세를 지켜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2. 추세선의 접점 수와 기울기 추세선의 접점 수가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고, 추세 이탈시 오는 변동성도 큽니다. 반대로 추세선의 접점 수가 적을수록 신뢰도가 떨어지고, 추세 이탈시 오는 변동성도 작습니다. 추세선의 기울기는 추세의 힘을 나타..

엘리어트 파동 이론 (3-2) 조정 파동 - 삼각형, 혼합형

1. 삼각형(3-3-3-3-3) 삼각형 조정은 가격의 조정보다는 시간의 조정에 가깝습니다. 5개의 파동을 가지고 있으며 3-3-3-3-3의 형태로 이뤄져 있고, A-B-C-D-E로 표기합니다. 삼각형 조정은 지그재그형 조정처럼 흔하게 볼 수 있으며, 수렴형과 확장형 2가지 형태가 있고, 확장형 보다는 수렴형이 좀 더 자주 등장합니다. 그리고 2파보다는 4파에 자주 등장하며, B파에도 종종 나옵니다. 그림과 같이 마지막 E파동은 힘이 약해서 A파동과 C파동을 잇는 경계선에 닿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림과 같이 B파동이 A파동의 시작점을 넘는 삼각형 조정도 자주 나타납니다. 그리고 종종 위 그림처럼 파동E가 연장되어 다시 하위 삼각 조정을 그리며, 9파 삼각형 조정이 되기도 합니다. 2. 삼각 수렴을 ..

엘리어트 파동 이론 (3-1) 조정 파동 - 지그재그형, 플랫형

시장은 한 단계 더 큰 파동을 만들어 내기 위해 추세를 거스르는 반대 파동으로 조정을 줍니다. 추세를 거스르고 추세와 힘겨루기를 하므로 가격적으로나 시간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집니다. 조정 파동의 종결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조정 파동이 완성되고 나서야 특정 패턴으로 판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정 파동은 충격 파동과 다르게 5파로 구성되지 않고 3파로 구성되는데, 추세에 맞서 급격하게 가격 조정을 이루는 급각 조정과 급각 조정보다는 좀 더 완만하며 시간적으로 조정을 가지는 횡보 조정, 2가지가 있습니다. 조정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지그재그형(Zig-Zags), 플랫형(Flats), 삼각형(Triangles), 혼합형 형태가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지그재그형 조정과 플랫형 조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매물대란 무엇일까? 매물대 보는 법

매물대란 특정한 가격대에서 일정 기간 동안 매수, 매도가 이루어진 구간을 뜻합니다. 2019년 연말 비트코인 차트 위 그림처럼 매물대 구간에서는 큰 변동성을 주지 않고 옆으로 횡보를 하는데, 이를 ‘박스권’이라고도 합니다. 매물대는 지지저항선, 추세선, 피보나치(되돌림)와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특정 구간에 위 4가지의 지표 중 2개 이상의 지표가 겹칠 때가 있습니다. 이 구간은 매매하기 정말 좋은 자리가 됩니다. 그러므로 위 4가지 모두 숙지하고 있어야 좀 더 정확한 차트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위 매물대가 차트에서 어떻게 작용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매물대 = 저항 구간 현재 가격이 매물대보다 아래에 있을 때, 매물대는 저항 구간이 됩니다. 매물대2에서 매물대1 구간으로 올라오려다가 그림의..

3중 다이버전스, 다이버전스를 활용한 실전 매매법

1. 2중, 3중 다이버전스 다이버전스는 한 번이 아닌 두 번, 세 번 연속적으로 출현하기도 합니다. 여러 번의 연속적인 다이버전스는 쐐기형 (리딩 다이아고날, 엔딩 다이아고날, ABC 조정의 C파동)에서 볼 수 있는데요. 4월 엔딩 다이아고날을 그리며 최고점을 찍었던 비트코인 고점을 갱신하며 가격은 계속 상승하지만 RSI의 고점은 점점 낮아지며, 연속적인 하락 다이버전스가 생기는 게 보이시죠? 그림처럼 1분봉에 생긴 2개 이상의 바닥이 5분봉으로 보면 1개의 바닥이 되고, 5분봉에서 생긴 2개 이상의 바닥은 30시간 봉으로 보면 1개의 바닥이 됩니다. 즉 1분, 5분, 15분, 30분, 1시간, 4시간, 1일봉 등 더 큰 프레임에서의 추세 전환을 위해서는 좀 더 작은 프레임에서의 다이버전스가 필요합니다..

차트 공부RSI, 다이버전스, 다이버전스의 종류

1. RSI (상대강도지수) 차트 분석을 할 때 한 가지 지표에만 의존해서 매매하는 것보다는 여러 가지 지표를 섞어 쓰는 것이 차트 분석의 정확도를 높여줍니다. 그중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이 RSI (상대강도지수)입니다. 그림 아랫 부분의 보라색 지표가 RSI (상대강도지수)입니다. RSI란 14일간의 상승 압력과 하락 압력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을 이용해 현재 시장이 과매수 상태인지 과매도 상태인지 표현한 지표입니다. RSI가 클수록 상승 압력이 강하고, RSI가 낮을수록 하방 압력이 강하다는 뜻인데, 14일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상승하게 되면 RSI는 100이 되고 14일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하락하게 되면 RSI는 0이 됩니다. 2. RSI를 이용한 기본 전략 RSI가 70 이상인 구간..